🪶 한글날의 유래와 의미
📑 목차
1️⃣ 한글의 뿌리 –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2️⃣ 한글 반포와 해례본의 가치
3️⃣ 한글날 제정의 역사
4️⃣ 한글날의 상징적 의미
5️⃣ 순우리말의 아름다움
6️⃣ 2025 한글날 주요 행사 안내
1️⃣ 한글의 뿌리 –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2️⃣ 한글 반포와 해례본의 가치
3️⃣ 한글날 제정의 역사
4️⃣ 한글날의 상징적 의미
5️⃣ 순우리말의 아름다움
6️⃣ 2025 한글날 주요 행사 안내
1️⃣ 한글의 뿌리 –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조선 세종 25년(1443년), 세종대왕은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을 하고자 해도 제 뜻을 펴지 못한다”는 안타까움으로 백성을 위한 문자,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셨습니다.
『훈민정음 서문』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 우리말과 한자가 달라 백성이 불편하니, 스스로 글자를 만들어 주겠다는 뜻이었죠.
💡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의 지혜와 사랑이 담긴 인류 문화유산입니다.
2️⃣ 한글 반포와 해례본의 가치
훈민정음은 세종 28년, 1446년 음력 9월 10일(양력 10월 9일)에 ‘훈민정음 해례본’과 함께 반포되었습니다.
이날을 기념해 지금의 한글날이 생겨났습니다.
‘해례본’은 한글의 제자 원리와 발음법을 설명한 책으로, 국보 제7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3️⃣ 한글날 제정의 역사
연도 | 내용 |
---|---|
1926년 | 조선어연구회가 ‘가갸날’ 제정 (음력 9월 29일) |
1928년 | ‘가갸날’ → ‘한글날’로 명칭 변경 |
1940년 |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 반포일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 |
1945년 | 광복 이후 ‘한글날’ 공식 기념일 지정 |
1991년 | 공휴일에서 제외 (경제개발 이유) |
2013년 | 국경일 및 공휴일로 복귀 |
4️⃣ 한글날의 상징적 의미
한글날은 단순한 문자 기념일이 아니라 민족 정체성과 창조 정신의 상징입니다.
- 🕊️ 언어주권의 상징 – 외래문자 없이 자국 문자를 창제한 유일한 나라
- 🌿 민주정신의 상징 – 모든 백성이 배울 수 있는 문자
- 💡 창조정신의 상징 – 과학적 원리로 만들어진 세계 최고 문자 체계
5️⃣ 순우리말의 아름다움
우리말에는 다른 언어로는 옮기기 힘든 따뜻한 감성과 소리가 있습니다.
“한글의 아름다움은 그 말 속에 깃든 마음에 있다.”
단어 | 뜻 |
---|---|
달그림자 | 물 위에 비친 달빛 |
가온누리 | 세상의 중심 / 가장 소중한 사람 |
도란도란 | 정답고 조용히 이야기하는 소리 |
온새미로 |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
다솜 | 사랑의 순우리말 |
🌸 순우리말은 우리 조상의 감성과 자연의 언어입니다. 한글날에는 가족과 함께 예쁜 우리말을 나누어 보는 것도 좋겠죠.
6️⃣ 2025 한글날 주요 행사 안내
전국 곳곳에서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 한글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립니다.
지역 | 행사명 | 장소 | 주요내용 |
---|---|---|---|
서울 | 2025 한글한마당 | 광화문광장 일대 | 전시·공연·체험 행사 다수 |
세종 | 세종한글축제 | 세종 호수공원 | 개막행사, 퀴즈, 공연, 에어쇼 |
여주 | 여주 한글문화행사 | 세종대왕릉 | 캘리그래피, 서예, 가족체험 |
용인 | 다온라온 한글누리 | 어린이상상의숲 | 어린이 중심 체험 프로그램 |
📌 한글날은 국경일입니다. 10월 9일에는 태극기를 게양하고, 한글의 가치를 되새겨보세요.
💬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사랑에서 시작된 날입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글자 속에, 백성을 향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글자 속에, 백성을 향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